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1.경제공부 - GDP / GNI란 무엇일까?

by 가쓰오우동 2024. 2. 20.

- GDP란 무엇일까?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경제 관련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특히 신문이라든지 인터넷에서 경제관련 기사를 보게 되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몇% 성장했다든지, 우리나라 1인당 국민 소득이 얼마인지 등 경제용어 관련 글을 많이 접하게 된다.

우리가 중학교 때 배우는 GNP, GDP, GNI등도 마찬가지다. 분명 학교 다닐 때 배웠고 신문에서도 많이 본 단어인데 정확히 어떤 개념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정확히 GDP / GNI / GNP는 무슨뜻일까?

먼저 GDP 와 GNI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자.

 

 GDP / GNI / GN

GDP에 대한 위키피디아 사전적 의미다. 한번 읽고는 솔직히 바로 이해가 잘 안 간다.

즉 한 국가에서 발생한 모든 소득이라고 생각하면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기업이 제품을 만들고 우리 국민들한테 판다고 생각해 보자 당연히 GDP에 포함될 것이다. 그렇다면 미국인 스미스 씨가 한국에 와서 미국제품을 한국인들한테 팔경우는? 당연히 우리나라에서 경제활동이 이뤄졌으므로 GDP에 포함된다.

 

요즘에는 경제관련 지표를 참고할 때 GNP 보다는 GDP를 참고합니다. 왜냐하면 갈수록 세계는 글로벌해지기 때문에 이민이라든지 경제활동을 해외에서 하는 경우가 과거보다 훨씬 많아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해당 국가에서 발생한 경제활동으로 참고하는 게 보다 객곽전인 기준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해당 국가에서 내국인이든 외국인이든 경제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소득이 많아지면 결국 해당국 가는 부유해지는 것이겠죠?

 

또한 물가상승률과 인플레이션을 반영할 경우 GDP가 좀더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GNP를 반영하면 해외에 내국인이 많이 나가서 경제활동을 하면 해당국가(예를 들어 한국)에는 물가상승률에 반영이 안 됩니다.

그렇다 보니 물가상승률과 인플레이션을 반영할 수 있는 GDP를 경제지표로 사용하는 게 보다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기사를 보면 경제성장률이 몇%성장할 때 GDP를 기준으로 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경제성장률은 어떻게 나오는 것이며 어떻게 구해야 할까요? 만약 2017년도 GDP를 100억 달러라고 하고, 2018년도 GDP는 110억 달라고 해봅시다. 그러면 전년대비 10% 성장한 것입니다. 과거 우리나라도 중국처럼 5~10% 가까이 성장한 적이 있는데 최근에는 2~3%대로 떨어졌습니다.

왜그럴까요? 그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10에서 100으로 늘리는 건 쉬운데 100에서 1000으로 늘리는 건 당연히 과거보다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100만 원 벌다가 1,000만 원 벌려고 하면 당연히 과거보다 %가 낮을 수밖에 없겠죠?

 

두번째로 GNI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GNI란 무엇인가?

 

오늘은 GN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NI란 단어는 솔직히 GDP나 GNP보다는 덜 알려지거나 신문을 봐도 잘 못 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국민소득이라고 해서 국민소득 2만 불시대니, 3만 불시대니 하는 말은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바로 한 국가의 국민소득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기준이 이 GNI란 친구입니다.

정확한 단어를 알기 위해서는 사전 검색이 필수겠지요 ^^??

  GNI란 무엇일까? GNI란 무엇일까? GNI란 무엇일까?

 

P란 무엇일까?

역시 모를 때는 구글신에 물어보면 다 나오죠

여기서 우리는 총소득이란 단어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전 국민이 벌어들인 수입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아버지가 한 달 열심히 일하고 받아오는 월급처럼 이 GNI란 우리 국민들이 평균적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구매력을 나타낸 지표라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이 우리나라에만 사느냐? 그렇지는 않습니다. 해외에 나가서도 수출도 하고 수입도 하며 돈을 법니다. 그 사람들도 분명히 한국인이기 때문에 그들의 소득도 이 GNI에 포함이 되는 것이죠.

선진국일수록 국민소득이 높을 것입니다. 당연히 개발도상국일수록 국민소득은 낮고요. 국민소득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물건을 많이 구매할 수 있는 여력이 높다는 것이죠. 미국이 소비하는 것을 보면 놀랄 겁니다.

저는 옛날부터 궁금했던 것이 있었는데요. 한각의 기적이라고 할 만큼 대한민국은 빠른 경제성장을 이뤘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국민소득 2~3만 달러는 비교적 빠르게 올라간 것 같은데 어느 순간 정체가 돼있는 것 같습니다.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를 가진 국가이면서 아직까지는 개발도상국이라 불리는 한국인데요. 아무래도 국민소득이 선진국 문턱까진 못 올라가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만큼 대한민국이 벌어들이는 소득이 한계에 봉착한 것 같습니다. 이건 어제 말한 GDP와도 관련이 있는 것 같은데요. GDP가 경제성장률을 반영한다고 했는데, 최근에는 2% 성장을 한다고 했습니다. 그만큼 과거보다는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많이 줄어들었다고 보입니다. 그러다 보니 시간은 지나도 대한민국의 국민소득은 조금씩 조금씩 상승하다보니 2~3만 달러 구간에서 계속 머문다고 보여집니다.

그렇다고 향후에도 대한민국이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을까? 란 의문이 드는 게 사실입니다. 대한민국 경제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이끌어간다고 할 정도로 지난 몇 년 동안 반도체가 호황이었습니다. 하지만 갈수록 반도체 시장은 안 좋아지고 있고, 내년에도 상황은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면 다음 먹거리 산업이 나와야 하는데 그것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스타트업, 벤처기업등 일명 유니콘기업을 많들려고 하지만 페이스북, 구글 같은 기업이 한국에서 나오기란 쉽지 않아 보입니다.